mlocate db로 인한 disk full
이슈
- 매일 새벽 시간대 특정 서버 루트(/) 디렉토리의 디스크 풀 알람이 발생했다가 해소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 루트 디렉토리이기 때문에 지속 발생 시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원인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원인 디렉토리 및 파일
- 디스크 풀의 원인이 되는 디렉토리 및 파일을 알아내기 위해 아래 스크립트를 크론탭에 등록하여 로그에 기록했다.
- 매분 해당 스크립트를 통해 디스크 사용율이 높은 디렉토리를 기록했다.
- (디스크가 계속 차있었다면, 해당 시점에 용량을 차지 하고 있는 디렉토리를 확인하면 됐을텐데, 이번 경우에는 디스크가 찼다가 다시 줄어드는 패턴이었기 때문에 문제 인지 시점에는 문제가 된 디렉토리를 알 수가 없었다.)
sudo du -h --max-depth=2 --exclude={proc,home1} / | grep -vE "^0\s" | sort -hr
- 확인 결과 아래와 같은 패턴이 발견되었다.
- 03시 19분부터
/var/lib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이 급증하기 시작 - 03시 29분까지 지속
- 03시 33분에 정상화
- 03시 19분부터
- 결국 문제가 된
/var/lib
디렉토리를 살펴보았다. - 살펴보니
/var/lib/mlocate
디렉토리의 modified time이 03시 32분(디스크 사용량 정상화시점)과 일치했고, 해당 디렉토리에는 7.5GB 크기의mlocate.db
파일 하나만 존재했다. - 그래서 이 파일의 용도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인지 추적하기 시작했다.
mlocate.db
mlocate.db
는 리눅스locate
유틸을 위한 색인용 데이터베이스이다.locate
는find
와 유사한 용도의 유틸이며,find
와의 차이점은 아래 find와 locate의 차이점 참고.
- 그렇다면 이 db 파일을 만드는 쪽은 어디인가?
- 해당
mlocate.db
는updatedb
프로세스에 의해 생성되며,updatedb
는cron daily
에 의해 하루에 한번 실행된다.
- 해당
- 그래서
cron.daily
를 확인해보니mlocate
스크립트가 있었다.- 그리고
mlocate
스크립트 내부를 확인해보니 실제로는updatedb
바이너리를 실행하는 것이었다.
- 그리고
[root@server ~]$ ls -al /etc/cron.daily/
total 24
drwxr-xr-x. 2 root root 57 Jul 1 2022 .
drwxr-xr-x. 94 root root 8192 Aug 23 2022 ..
-rwx------. 1 root root 219 Apr 1 2020 logrotate
-rwxr-xr-x. 1 root root 618 Oct 30 2018 man-db.cron
-rwx------. 1 root root 208 Apr 11 2018 mlocate
[root@server ~]$ sudo cat /etc/cron.daily/mlocate
#!/bin/sh
nodevs=$(awk '$1 == "nodev" && $2 != "rootfs" && $2 != "zfs" { print $2 }' < /proc/filesystems)
renice +19 -p $$ >/dev/null 2>&1
ionice -c2 -n7 -p $$ >/dev/null 2>&1
/usr/bin/updatedb -f "$nodevs"
- 그리고 실제 크론에 의해 수행되는 게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크론 로그를 보니 약 새벽 3시경 실행이 됐던 것으로 확인했고,
mlocate
수행 시작 시점(03:19)과 수행 종료(03:32) 시점이 디스크 풀 발생 및 해소시간과 일치함을 발견했다.[root@server ~]$ sudo grep 'cron.daily' /var/log/cron (생략) Mar 29 03:01:01 server anacron[15318]: Will run job `cron.daily' in 18 min. Mar 29 03:19:01 server anacron[15318]: Job `cron.daily' started Mar 29 03:19:01 server run-parts(/etc/cron.daily)[29377]: starting logrotate Mar 29 03:19:01 server run-parts(/etc/cron.daily)[29385]: finished logrotate Mar 29 03:19:01 server run-parts(/etc/cron.daily)[29377]: starting man-db.cron Mar 29 03:19:01 server run-parts(/etc/cron.daily)[29399]: finished man-db.cron Mar 29 03:19:01 server run-parts(/etc/cron.daily)[29377]: starting mlocate Mar 29 03:32:52 server run-parts(/etc/cron.daily)[26074]: finished mlocate Mar 29 03:32:52 server anacron[15318]: Job `cron.daily' terminated
- 결국
updatedb
프로세스가 디스크풀을 유발 및 해소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의심스러운 상황이었다.
그럼 왜 디스크풀이 발생할까?
updatedb
프로세스는 색인 파일(mlocate.db
)을 갱신하는 프로세스이다.- 디스크 풀이 발생했다가 자연해소되는 패턴으로 보아, temp db 파일을 만들고, mv하는 방식으로 동작하지 않을까라고 예상하고 실제 소스코드를 확인해봤다.
- 실제 소스코드를 확인해보니 예상과 동일하게 temp파일을 만들고 rename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다.
- 결국
updatedb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도중에는 실제 색인 파일 + 임시 색인 파일이 동시에 존재하게 되어, 색인 파일크기의 최대 2배 가까이 디스크를 사용하면서 디스크 풀이 발생한 것이고 updatedb
갱신 완료 시점에는 하나의 파일만 남게 되어 디스크 사용량이 다시 줄어들어드는 것이다.
해결방안
근본적인 원인은 색인 파일인 mlocate.db
파일 사이즈가 큰 것이 원인이고, 결국 이 색 인 파일의 크기는 전체 디스크 사용율에 비례한다.
문제가 된 서버의 경우도, 실제로 1TB 이상을 사용하고 있던 서버였기 때문에 색인 파일 크기도 그에 따라 커졌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 파일시스템 중 사용하지 않는 파일을 지울 수 있다면, mlocate.db
파일 사이즈도 줄어들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실제로 해당 파일들이 모두 사용하고 있는 파일들이었기 때문에 디스크 사용율은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했다.
/etc/updatedb.conf
의PRUNEPATHS
에 특정 디렉토리 추가/etc/updatedb.conf
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updatedb
프로세스의 설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 그리고 설정 중에는
PRUNEPATHS
환경 변수를 통해서 지정할 수 있는 설정이 있는데, 이 설정은 색인에서 제외할 수 있는 경로들을 지정할 수 있는 설정이다. - 그렇다면, 디스크 사용율이 높지만
locate
에서 참조될 일이 없는 경로를 색인에서 제외하면,mlocate.db
파일이 커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updatedb
의 옵션(output
)을 통해 db 경로 변경updatedb
스크립트의 옵션에 결과 색인 파일명을 지정할 수 있는 옵션(-o
)이 있다.- 지정하지 않는 경우 디폴트(
/var/lib/mlocate/mlocate.db
)가 된다. - 해당 옵션을 통해 마운트된 크기가 큰 디스크 영역에 색인 파일을 저장한다면, 당장 문제가 된 디스크 영역의 디스크 풀은 해결할 수 있다.
- 다만, 색인 파일의 크기가 큰 것은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이다.
cron.daily
에서mlocate
를 제외- 사실 서비스와 관련 없는 리눅스의 유틸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색인파일을 업데이트해줄 필요가 없어보였다.
3가지 안 중 우리는 1안을 적용했다.
3안은 locate
에 의존적인 프로세스의 존재 여부에 대한 조사가 필요했기 때문에 제외를 했고, 1안과 2안 중 좀 더 근본적으로 색인 파일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1안을 채택 및 적용했다.
1안을 적용 후 수동으로 updatedb
명령어를 수행한 결과,
7.5G에 달했던 색인 파일이 1.9M까지 줄어들었다.
그외
find와 locate의 차이점
일반적으로 리눅스 환경에서 조건에 맞는 파일을 찾을때 find
명령어를 많이 사용했는데, 이번에 locate
도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을 알게됐다.
그렇다면 두 가지 유틸의 차이는 무엇일지 궁금하여 찾아보았다.
find
는 명령을 수행한 시점에 파일시스템을 직접 탐색하는 반면, locate
는 사전에 색인을 만들어두고(cron.daily
에 의해 하루에 한번) 색인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결과를 알려준다.
그렇기 때문에, 조회 속도 관점에서는 locate
가 빠를 수 있지만, 정보의 실시간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일반적인 db에 직접 검색 vs 색인을 통한 검색의 트레이드 오프를 그대로 가져간다고 볼 수 있다.
Leave a comment